이번 사업은 검증된 솔루션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주민들의 체감도가 매우 높아 지자체에서 경쟁적으로 유치하는 추세로, 올해 사업도 전국 24곳이 지원하는 등 치열한 경쟁이 있었으나 강원특별자치도가 5곳중 2곳이 선정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스마트시티 솔루션 확산사업』은 도시서비스가 부족한 소도시에 교통, 안전‧방재, 생활‧복지 분야에 효과성이 검증된 스마트 솔루션 패키지*를 보급하여, 각종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사업으로 2020년부터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선정된 대상지의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면(面) 지역 실시간 버스도착 알림 솔루션 등 생활밀착 서비스 구축 (홍천군)
정류장에 부착된 큐알(QR)코드 또는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앱 설치 없이도 웹에서 실시간 버스 도착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버스 온(ON) 솔루션” 구축
홍천 관내의 각종 시시티브이(CCTV), 사물인터넷(IoT) 센서, 비상벨 등 도시 인프라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계하여 방범·방재, 환경 등 분야별 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지능형 도시관리 플랫폼” 구축
버스 배차 간격이 긴 농촌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쾌적한 실내형 대기공간을 조성하여 주민들이 편안하게 대기할 수 있는 “스마트 버스셀터” 등을 구축
인공지능(AI) 영상 기반 해변 안전관리 시스템, 스마트 침수대응 솔루션 등 구축 (고성군)
화진포, 송지호, 아야진, 천진‧봉포 해수욕장 4개소에 “인공지능(AI) 영상 기반 해변 안전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야간, 폐장 상황 등에 해수욕장 입수자의 위급상황 발생 시 이를 자동으로 탐지하여 119안전센터와 연결하여 물놀이 사고 예방을 위한 체계를 마련
집중호우시 상습 침수되는 토성면과 간성읍의 2개 지하차도(굴다리)에 침수 발생시 자동으로 입구를 차단하는 “스마트 침수대응 솔루션”을 도입하여 인명 및 차량 침수 사고를 예방
통일안보공원 교차로 등에 지능형 시시티브이(CCTV) 가 포함된 “스마트 폴” 8개를 도입하여 시시티브이(CCTV) 통합관제센터와 연계함으로써 관광지 보행 안전 확보 및 야간 경관 개선을 추진
죽왕초등학교 인근 등 3개소에 “스마트 횡단보도”를 도입하여 어린이, 노인 등 보행자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스마트 교통 인프라 구축
강원특별자치도 이종구 건설교통국장은“강원특별자치도는 2019년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이 시작된 이후 26곳에 국비 583억 원 확보해 도내 지역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도내 곳곳의 도시 문제들을 해결해 강원특별자치도민의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