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장 대표적인 길은 대한민국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장거리 도보길 ‘해파랑길’이다.
‘해파랑’은 동해의 상징인 떠오르는 해(해)와 푸른 바다(파랑)를 조합한 이름으로, ‘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바라보며 파도 소리를 벗 삼아 걷는 길’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동해의 해파랑길 구간은 ▲추암해변에서 묵호역까지 이어지는 33코스와 ▲묵호역에서 망상을 거쳐 한국여성수련원까지 이어지는 34코스로,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길 위에서 시시각각 변하는 동해 바다의 풍광과 푸른 파도, 일출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삼화지역에서 정선 임계까지 이어지는 ‘소금길’도 놓칠 수 없는 걷기 명소다. 동쪽으로는 달방저수지의 고요하고 아름다운 수변 경관이, 서쪽으로는 백봉령의 웅장한 산악지대가 펼쳐져 사계절 색다른 풍경을 만끽할 수 있다.
소금길은 총 3개 코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1코스는 신흥마을 대형주차장에서 원방재까지 ▲2코스는 이기령에서 장재터까지 ▲3코스는 미역널이입구에서 무릉별유천지까지 이어진다.
특히 동해고속도로와 국도 7·42호선을 통해 접근성이 뛰어나 누구나 쉽게 찾아올 수 있다.
이외에도 동해 곳곳에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 자연 이야기가 담긴 ‘이야기길’ 6개 코스가 조성되어 있어 걷는 재미를 더한다. 각각의 길마다 숨어 있는 전설과 마을 이야기, 자연 생태를 접할 수 있어 도보 여행의 깊이를 더한다.
동해시는 시민과 관광객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걷기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걷는 길 정비를 수시로 진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홍보를 통해 걷는 길 관광 활성화에도 힘을 쏟고 있다.
걷는 길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지도는 동해시관광홈페이지 내 동해관광안내책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진화 관광과장은 “동해는 해안길과 산악길 등 천혜의 자연환경 속에서 다양한 코스를 따라 걷기 좋은 길을 경험할 수 있는 도시”라며 “걷는 여행이 일상이 되는 도시, 발길이 머무는 관광 도시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