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제역 백신 접종은 지난 2017년부터 전국 소·염소 사육 농가의 모든 가축에 빠짐없이 연 2회(4월, 10월) 일제 접종을 정례화해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 3월 전남 영암, 무안의 소 사육 농가 구제역 발생으로 상반기 일제 접종을 3월로 앞당겨 접종했다.
이에 6개월의 백신 항체 유지 기간을 고려해 하반기 일제 접종도 한 달 일찍 9월에 실시하게 됐다.
하반기 구제역 일제 접종 대상은 소·염소 4만 6천여 마리로 전업 규모(소 50마리 이상, 염소 300마리 이상)의 농가는 김제축협 동물병원에서 구제역 백신 구입 후 9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 자가 접종해야 하며, 소규모 농가(소 50마리 미만, 염소 300마리 미만)와 전업 규모 농가 중 65세 이상 노령 및 입원 등으로 농장주가 직접 예방접종이 어려운 농가(접종반 신청서 작성 제출)에 대해서는 공수의 접종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차질 없는 예방접종을 추진하기 위해 8일 접종반 협의회를 실시하고, 접종 대상 농가에 백신 공급과 정확한 접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올바른 구제역 백신 접종 요령 홍보자료를 배부했다.
강기수 김제시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축산농가가 빠짐없이 백신 접종을 한다면 구제역 발생 없는 청정 김제를 유지할 수 있다”며, “이번 일제 접종에서 누락 되는 개체가 없도록 반드시 기간 내 백신 접종을 완료하고, 농장 소독, 예찰 등 차단방역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구제역 백신 미접종 개체는 가축시장 매매와 도축장 출하가 제한되고, 접종 1개월 후 구제역 모니터링 검사에서 항체율(소 80%) 기준 미달 시에는 5백만원의 과태료 부과와 함께 보강접종, 확인 검사 등 농가 관리가 강화된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