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정부엔 데이터 개방... 서울시와는 ‘불통’
왕 의원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농수산식품공사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림축산식품부 등 중앙정부 및 유관 기관과는 API 연계를 통해 경매가격, 정산자료 등 주요 데이터를 실시간 제공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작 서울시가 운영하는 '서울시 물가정보 사이트'와는 데이터 연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왕 의원은 "공사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농수산식품공사 유통정보 사이트'에는 품목별 가격, 빅데이터 분석 등 양질의 데이터가 구축되어 있다"며 , "서울시의 효과적인 물가관리에 활용될 수 있는 이 자료가 연계되지 않아 예산 낭비와 함께 물가관리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데이터 정확성·실시간성 한계"... AI 기반 시스템 구축 촉구
왕 의원은 지난 11월 7일 민생노동국 감사에서 서울시 물가정보가 수기로 입력돼 신뢰도가 떨어진 점을 지적한 바 있다. 왕 의원은 "문제의 근원은 농수산물 1차 자료를 생산하는 공사와의 연계가 단절되어 데이터의 정확성과 실시간성에 한계가 발생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농수산물 가격은 변동성이 커 실시간 모니터링이 중요함에도 , 데이터가 연계되지 않아 효과적인 물가관리에 공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왕 의원은 "공사가 보유한 빅데이터를 서울시 물가관리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AI 기반 시스템 연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시민들이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 앱 개발, 서울시 데이터허브 챗봇 연계, Open API 제공 등 시민 편의성 제고 방안을 마련해 보고할 것"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