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 교수의 이번 논문은 2024년 전통주 제조업체 등과의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효소를 이용한 무증자 증류식 소주 제조 기술’에 기반했다고 밝혔다.
최 교수가 개발한 ‘효소를 이용한 무증자 증류식 소주 제조 기술’은 전통주 제조 과정에서 입국을 효소로 대체하면서, 원료인 쌀이나 고구마 등을 찌지 않고 생쌀이나 생고구마를 사용하여 증류주를 제조하는 무증자 기술이다. 이를 통해 전통주 제조 과정에서 발효 공정의 비용을 80% 이상 절감하고, 고구마 등 원료의 향을 강화하는 등 전통주의 품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최 교수는 “2024년부터 ‘효소를 이용한 무증자 증류식 소주 제조 기술’을 5개 기업에 이전하여 이 중 강릉, 전주, 완주에 위치한 3개 기업에서 제품화에 성공했으며, 향후에도 희망업체를 대상으로 기술이전을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농대 김진진 산학협력단장은 “이번 연구성과를 토대로 지역농산물 기반의 전통주 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전통주 생산업체와의 산학협력 연구 및 기술 이전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