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XR·메타버스 등 디지털 기술이 창조산업 전반에 접목되면서 제작 방식의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시장 판도를 바꾸는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변화 속에서 콘텐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기술과의 결합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서울시는 오는 9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엔터테크, 서울 2025’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엔터테크(Entertech)’는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와 기술(Technology)을 융합한 신산업 영역으로, 음악·게임·미디어에 XR(확장현실), AI(인공지능), 메타버스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행사는 K-콘텐츠와 AI·XR·버추얼아이돌 등 첨단기술을 접목해 창조산업의 외연을 확장하고, 수출 편중과 글로벌 기술격차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적 전환점으로 기획됐다. 시는 이를 통해 4만여 명의 시민과 120여 개 콘텐츠·기업이 함께하는 축제를 넘어, 서울을 ‘글로벌 엔터테크 허브’로 도약시키는 정책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번 행사는 단순 전시·공연을 넘어, 서울시의 엔터테크 산업 육성 전략을 정책적으로 구체화하는 자리로, 주요 프로그램은 ▴개막식 ▴포럼 ▴XR/게임 체험 및 전시존 ▴실감미디어 전시 ▴e스포츠 대회 ▴VR 공연체험·버스킹 등으로 구성된다.
행사 첫날(19일) 개막식에서는 ‘K-엔터테크 콘텐츠의 글로벌 확산 전략’을 주제로 갤럭시코퍼레이션 최용호 대표가 기조연설을 진행한다. 최 대표는 AI·메타버스 등 기술 융합을 통해 K-콘텐츠가 세계 시장으로 확장할 수 있는 전략과 서울을 글로벌 엔터테크 허브로 도약시키기 위한 비전을 제시한다. 이어 XR·홀로그램 기술로 구현된 차세대 버추얼 아이돌 그룹 ‘스킨즈(SKINZ)’가 축하 공연을 통해 현실을 넘어선 디지털 퍼포먼스로 관객들에게 새로운 감각을 선사할 예정이다.
개막식 직후에는 ‘K-POP 산업의 미래전략’과 ‘XR 기술의 가치와 서울시의 역할’을 주제로 업계와 학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포럼이 열린다. 시는 이를 통해 엔터테크 산업 육성의 정책 방향을 민간·학계와 함께 구체화할 계획이다.
(포럼 1, ‘K-콘텐츠의 글로벌 무대, 서울’) : 포럼1에서는 ▴이승우(SM리얼라이브스튜디오)대표의 K-POP 공연 기술 ▴김준기(비마이프렌즈) 최고기술책임자의 팬덤 플랫폼 전략 ▴최광호(한국음악콘텐츠협회) 사무총장의 산업 정책 및 저작권 보호 방안이 논의되며, 김정환 고려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기술·플랫폼·정책의 융합을 주제로 종합토론을 진행한다.
(포럼 2, ‘XR 산업이 여는 엔터테크 생태계’) : 이어진 포럼2에서는 ▴김혜진 덱스터스튜디오 이사의 XR 스토리텔링 사례 ▴박혜진 팜피 대표의 일상에서의 XR ▴이혜원 기어이 대표의 이머시브(Immersive・몰입형) 미디어 콘텐츠가 발표된다.
행사 이틀 차(20일)에는 국내 게임사 ㈜님블뉴런이 운영하는 인기 게임 ‘이터널리턴’의 내셔널리그 플레이오프가 DDP아트홀 2관에서 열린다. 전국 8개 지역 대표팀이 참가하며 팬 사인회와 인플루언서 매치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함께 진행된다.
마지막 날(21일)에는 청소년·장애인 대상 아마추어 대회 ‘서울컵’ 결승이 열린다. ▴청소년 대상 전략 슈팅게임 ‘발로란트’ ▴장애인 대상 축구 e스포츠 ‘FC 온라인’ 결승전을 통해 최종 우승팀을 가리며, 우승팀에는 서울시장상과 상금이 수여된다. 시는 이를 통해 e스포츠를 단순한 게임을 넘어 시민 누구나 즐기는 포용적 문화 콘텐츠로 확장한다.
이외에도, 엔터테크 행사가 열리는 DDP 곳곳에서는 3일간 XR・VR 기반 체험과 전시가 다채롭게 펼쳐진다. 블리자드, 네오위즈 등 주요 게임사가 운영하는 체험존과 젠지(Gen.G), DRX 등 e스포츠 구단 홍보 부스도 함께 설치돼, 게임 팬은 물론 일반 시민들도 최신 콘텐츠를 직접 즐길 수 있다.
XR 체험존에서는 서울의 상징 ‘해치’와 함께 가상세계에 접속해 ▴장갑형 기기를 활용한 불피우기 ▴레이저 피하기 ▴실감형 슈팅게임 등 단계별 미션에 도전할 수 있다. 미션을 성공적으로 완수한 참가자에게는 특별 굿즈가 증정돼, 놀이와 보상이 결합된 색다른 체험을 선사한다.
야외 어울림광장에서는 SM리얼라이브가 마련한 VR 콘서트 체험존을 통해 ‘에스파(aespa)’, ‘카이(KAI)’, ‘아이들(I-DLE)’의 공연을 몰입형 가상현실(VR)로 감상할 수 있다. 관객들은 실제 공연장에 있는 듯한 현장감을 느끼며, 기존 오프라인 공연과는 다른 차원의 체험을 즐길 수 있다.
포토부스에서는 버추얼 아이돌 ‘스킨즈(SKINZ)’와 함께 홀로그램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현실과 가상이 결합된 방식으로, 팬들이 아티스트와 소통하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아울러, 현장을 찾은 시민들은 ‘서울 게임 공동관(SEOUL GAME ALLEY)’에서 신진 게임개발자들이 직접 선보이는 다양한 인디게임을 체험할 수 있다. 현장에서 개발자와 직접 이야기를 나누며 창작과정의 아이디어와 비전을 공유할 수 있어, 단순 체험을 넘어 창작자와 시민이 함께 만드는 열린 공간이 될 예정이다.
CJ E&M은 인기 모바일 게임 ‘무한의 계단’을 서울시 대표 캐릭터와 결합한 특화 콘텐츠를 공개해, 기존 인기 게임을 색다르게 즐길 수 있도록 준비했다. 또한, 서울시 캐릭터 ‘해치’를 활용한 굿즈존과 실감형 미디어아트 전시 공간도 함께 마련돼 시민들의 현장 몰입도를 한층 높일 예정이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이번 ‘엔터테크, 서울 2025’는 단순한 행사가 아니라 기술·문화·산업이 융합된 미래형 콘텐츠 정책의 출발점”이라며, “서울시가 엔터테크 산업의 개념과 메시지를 선도적으로 제시한 행사”라고 강조했다. 이어 “서울시는 산업계·학계와 협력하고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게임·XR·VR 등 창조산업 전반이 첨단기술과 결합해 세계 시장으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