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생애주기를 4단계로 나눠 임산부부터 영유아까지 촘촘한 지원망을 구축할 방침이다.
우선, 임신을 계획하는 20~49세 여성 대상 난소기능검사(AMH)‧초음파 검사 및 남성 정액 정밀 검사 비용을 지원한다.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은 ‘부부당 25회’에서 ‘출산당 25회’로 대폭 확대되며, 항암치료 등 의학적 사유로 생식 기능 저하가 예상되는 경우 정자‧난자 냉동 비용도 지원한다.
특히, 보건소에서는 예비‧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풍진항체검사, 면역검사, 생화학검사, 흉부촬영 등 총 44개 항목의 건강검진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임신‧출산 단계에서는 보건소 등록 임산부에게 엽산제·철분제 및 출산용품을 제공하고, 산전 교육을 위한 출산준비교실을 운영한다. 결혼 예정자 및 임산부를 위한 무료 산전검사도 지원된다.
산후 및 양육 단계 지원도 강화된다. 산후조리비(최대 50만 원)와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를 파견하고, 저소득층에게는 기저귀‧조제분유를 월 최대 20만 원 한도 내에서 24개월간 지원하며, 고위험 임산부‧미혼모 등의 의료비도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영유아 건강관리 단계에서는 저소득층 가정에 기저귀‧분유를 만 2세까지 지속 지원하고, 미숙아‧선천성이상아‧청각장애 신생아를 위한 검사 및 치료비를 지원한다.
강광구 보건소장은 “임산부와 아이의 건강은 지역 공동의 책임”이라며, “출산과 육아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생애 초기부터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촘촘한 보건 안전망을 구축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