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회의에서는 서민경제 전반에 대한 정책 점검과 제도 개선의 필요성이 강하게 촉구됐다.
이번에 채택된 활동계획서에는 전통시장, 중소기업 등 관련 현장 방문과 지역건설협회 등 유관 기관 간담회 개최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민생경제특위는 내년 3월까지 활동을 이어가며 실효성 있는 정책 대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이날 도청 관련 부서로부터 △경상남도 소상공인 정책자금 융자지원사업 △시군 공공배달앱 활성화 지원사업 △전통시장 경쟁력 제고 및 활성화 추진방안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 △공공주택 미분양 현황 및 대책 방안 △지역건설업체 수주활동 적극지원 방안 등에 대한 업무보고를 받았다.
주봉한(김해5, 국민의힘) 위원은 “경남의 지역건설업체 하도급률은 26%로 전국 12위에 불과한 중하위권 수준”이라며, “전국 평균인 35% 이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도 차원의 각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유형준(더불어민주당) 위원은 “높은 중개수수료와 배달비로 인해 소상공인들의 수익구조가 악화되고 있다”며, “김해시의 공공배달앱 사례처럼 타 시군에서도 저렴한 수수료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업무를 추진해달라”고 전했다.
김태규 위원장은 “지역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 미분양 주택 문제 해결에 공공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시점”이라며, “민간소유라는 이유로 단순히 참여를 독려시키는 수준에서 그치치 말고, 실질적인 해결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역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로 삼정기업, 대저건설 등 중견건설사들이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가면서 하도급 업체의 공사대금 미지급 등 연쇄 피해 우려가 크다”며, “건설 노동자, 장비 대여업체, 관련 서비스업체 등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경남도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해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