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은 2015년부터 초미세먼지(PM2.5) 농도를 상시 모니터링한 결과, 전국 최저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건환경연구원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을 포함한 대기오염물질을 측정하기 위해 대기환경측정망 12개소를 24시간 운영 중이다.
2015년 첫 측정 이후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를 종합 분석한 결과, 제주가 국내 주요 도시 중 9년 연속 전국 최저 농도를 달성한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지역 초미세먼지 농도는 2015년 23㎍/㎥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감소해 2023년에는 14㎍/㎥까지 줄어들었다.
2023년 기준 서울(20㎍/㎥), 경기(21㎍/㎥) 등 수도권뿐만 아니라 부산(16㎍/㎥), 강원(15㎍/㎥), 광주(17㎍/㎥) 등 전국 주요 도시와 비교해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특히 해외 도시와 비교해서도 제주의 우수한 대기질이 입증됐다. 제주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중국 상하이(33㎍/㎥), 베이징(39㎍/㎥) 등 주요 도시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조사됐다.
현근탁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제주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2024년에는 13㎍/㎥까지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청정제주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대기질 관리를 지속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