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는 세균 감염 치료에 사용하는 의약품으로 바이러스가 원인인 감기나 독감에는 효과가 없다. 다만 일부 사람들이 감기 증상만으로 항생제를 요구하거나 증상이 나아졌다고 복용을 중단하는 등 잘못된 사용이 이어지면서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슈퍼박테리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의료기관과 요양병원을 중심으로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감염이 잇따라 발생하며 항생제 내성균의 심각성이 다시 한번 부각되고 있다.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는 강력한 항생제인 ‘카바페넴’에도 내성을 가진 세균으로, 감염 시 치료가 어렵고 면역력이 약한 환자에게는 폐렴, 요로감염, 패혈증 등 치명적인 감염을 유발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3년 전국에서 보고된 CRE 감염증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663명으로, 전체 감염병 사망자 수(코로나19 제외) 중 가장 높은 수치이다. 또한, CRE 감염증 신고 건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했으며, 요양병원 내 집단 발생 사례도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이에 고양시 보건소는 시민들에게 올바른 항생제 복용법을 당부했다. 복용 수칙은 △의사에게 처방받은 항생제만 복용하기 △타인이 처방받은 항생제 복용하지 않기 △ 의사의 처방에 따른 항생제 복용기간 지키기 △ 항생제 복용 중단은 의사와 상의 후 결정하기 등이다.
또한, 병원 방문 시 본인 또는 보호자가 최근 입원·전원의 여부를 의료진에게 정확히 전달해야 하며 손 씻기, 위생 수칙 준수 등 일상 속 감염병 예방 행동이 중요하다.
보건소 관계자는 “항생제 내성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우리 모두의 건강을 위협하는 공중보건 문제”라며, “작은 실천이 감염병 확산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