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연구는 2025년 대규모 산불이 발생한 청송 지역 하천수를 조사해, 산불 이후 강우 시 재·토사 등이 하천으로 유입되어 유기물 농도와 소독부산물 생성 위험을 증가시키는 현상을 규명한 데 의미가 있다.
취수원 하천수는 산불 이후 자연 용존 유기물질과 소독부산물 생성 농도가 평상시보다 최대 2배 가까이 증가했지만, 복류수는 하천수보다 35~56% 낮게 나타나 복류 층의 취수원 완충·정화 기능을 확인했다.
학회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가 산불 이후 수질 변화를 과학적으로 규명해 취수원 안전관리의 근거를 마련했다”며, 산불지역의 강우 영향에 대응한 수질관리 역량 강화 등 지자체 물관리 정책 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현장 중심의 과학적 분석연구를 기반으로 도민이 안심할 수 있는 물환경 조성에 더 힘쓰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