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농업기술센터는 지난달 대정, 안덕, 제주고산, 한경, 한림농협 조합원 240명을 대상으로 여름철 마늘 생육기 이상 기온에 따른 재배 방법 교육을 실시하고, 마늘 기계화 도입 및 제주 마늘산업 발전 방향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에는 161명이 참여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 60%(97명), 50~60대 32%(52명), 30~40대 12명(8%) 순이며, 지역별로는 서귀포시 대정읍 45%(75명), 제주시 한경면 32%(53명), 서귀포시 안덕면 18%(29명), 제주시 한림읍 5%(9명) 순이었다.
설문조사 결과 제주 마늘 재배면적의 지속적인 감소에 대해서는 계속 줄어들어야 한다 26%(39명), 현행 유지해야 한다 66%(98명), 증가해야 한다 8%(11명) 순으로 나타났다.
2024년 산 마늘 생산량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는 이상기온 84%(140명), 병해충피해 11%(18명), 종자 2%(3명), 재배방법 2%(4명) 순으로 응답했다.
마늘 재배면적 감소의 해결방안으로는 안정적인 판로 확보(39%)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이후 인력수급 문제 해결 27%, 마늘 재배 기계화 21% 순으로 나타나 인력문제 해결을 위한 기계화 도입이 큰 화두가 됐다.
마늘 기계화 도입에 관한 의견으로는 전 과정 기계화 필요 48%(73명), 파종 작업 기계화 우선 도입 24%(37명), 수확 작업 기계화 우선 도입 15%(22명) 순으로 답변했다.
김수미 기술보급담당관은 “물가 상승에 따른 마늘 생산비 증가, 농촌 고령화에 따른 농업인력 부족, 기상 변화에 따른 대응 등 제주 마늘산업의 현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며 “의견은 적극 반영해 마늘산업 발전을 위한 사업을 다각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