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회의에서는 지역의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인프라 확대 및 신산업 발굴, 분산특구 내 전력 거래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분산전원 기반의 지역단위 전력시스템 설계 등의 주요 의제들을 발표하고 관련 토론을 했다.
특히 조만간 에너지위원회 의결을 거쳐 최종 지정될 예정인 경북 포항 분산에너지 특화 지역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규제사항 등을 검토했으며 최근 지역별 전기요금제와 관련된 정부 정책 동향과 경북도 차원의 대응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비수도권 생산, 수도권 소비라는 전력 불균형의 심화, 송전선로 건설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반드시 논의되어야 할 사안이 바로 지역별 전기요금제로서, 이에 대한 포럼위원들의 활발한 토론과 의견 개진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홍석표 경북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대전환, 에너지 고속도로, 차세대 전력망 구축 등 새 정부 국정과제와 연계하면서도 경북도 에너지 현안을 잘 풀어나갈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지역별 전기요금제는 이번 정부가 가장 지향하고 있는 에너지 분권에도 가장 부합한 정책이라며, 원전의 절반이 위치한, 전력 자립률이 가장 높은 대한민국 전력 생산의 중심지인 경상북도가 필요성과 당위성 등을 지속해서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3회째인 그린에너지 분권 실현 포럼은 정부 분산에너지정책과 지역별 전기요금제에 대한 경북도 차원의 대응책을 마련하고 과제들을 지속 발굴하기 위해 운영한다.
또 경상북도는 연말쯤 국회 정책토론회 등을 통해 포럼 성과와 결과물을 발표하고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