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는 16일 도청 탐라홀에서 ‘The차오름(차오름 3기) 활동 성과 발표회’를 열고 7개월간의 혁신 활동 성과를 공유하며 향후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는 △여행이나 일상에서 사용 빈도는 낮지만 꼭 필요한 물품을 공유하는 ‘일상물품 공유 플랫폼’ △기존 물품보관소의 활용도를 높여 관광객 편의와 원도심 활성화를 동시에 도모하는 ‘물품·캐리어 보관소 개선안’ △종이 명함을 대체하고 정책 홍보 연계성을 높이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기반 디지털 명함 시스템’ 등의 아이디어가 발표됐다.
이후 진행된 질의응답에서는 개인정보 유출 우려, 타 지자체 활용 사례, 예산과 인건비 문제 등 실현 가능성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으며, 차오름 참여자들은 보완책과 실행 방안을 설명하며 심도 있는 토론을 펼쳤다.
오영훈 지사는 강평에서 “공직자들이 현장의 문제를 직접 발견하고 해결 방안을 제안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예산이나 시간에 얽매이지 말고 과감하게 구상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 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어 “NFC 기반 디지털 명함, 물품보관소 개선안 등은 당장 시범 운영할 수 있을 정도로 현실적이고 유용한 아이디어”라며 “추경 편성이나 조례 정비 등을 통해 정책화로 연계하는 방법을 검토해보겠다”고 밝혔다.
참가자들은 “혁신 아이디어 발굴 경험이 없어 두려웠지만 팀원들과 함께 배우며 성장할 수 있었다”, “수요자 중심의 정책 발굴 교육이 특히 인상 깊었고 실무에 적용하겠다”, “정책 발굴 과정에서 다양한 기관과 협력하며 큰 배움의 시간을 가졌다”며 소감을 전했다.
제주도는 발표된 혁신 아이디어에 대해 관계 부서와 협업해 실현 가능성을 검토하고, 정책화 및 시범운영을 추진할 계획이다.
‘차오름’은 ‘챌린지(Challenge)’와 제주의 상징 ‘오름’을 결합한 명칭으로, 다양한 부서와 직급의 공직자들이 모여 지역 및 공직사회의 문제를 새 시각에서 해결하는 혁신 조직이다.
2023년부터 2024년까지 총 29명이 참여해 8건의 혁신 아이디어를 발굴했으며, 올해는 디자인씽킹 교육, 혁신 현장 방문, 타 기관 교류 등 창의 역량 강화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