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김경례 의원은 수원시가 2030년까지 2018년의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40퍼센트 감축목표를 세우고 있지만, 올해 수립된 ‘수원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따르면 수원시보다도 정부의 역할이 지배적이라고 지적했다.
위 계획에 의하면, 2018년 기준 수원시 전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96.4%가 건물(63.3%)과 수송(33.1%) 부문인데, 건물·수송 부문의 2030년까지 목표 감축량 243.1만톤CO2eq 중 90.9%인 221.1만톤CO2eq가 정부 정책에 따른 감축량이다.
건물 부문의 목표 감축량 중 92.7%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도입 등에 따른 것이며, 수송 부문에서는 전기자동차 등 친환경운송수단 보급에 따른 감축량이 전체의 82.9%를 차지하고 있다.
김 의원은 “현행 계획대로라면, 수원시의 목표 감축량 중 90%를 정부에서 하는 것이며, 자체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은 10%가 되지 않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의원은 “이 말씀을 드리는 이유는, 정부가 해주기만을 기다리며 손을 놓고 있으면 안 된다는 말씀을 드리기 위해서다”라며, “수원시에서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탄소중립 시책을 더 철저히 추진해달라”고 주문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지방정부로서의 책무가 커지고 있는 만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수원시만의 독자적인 역할을 모색해야 한다”면서, “할 수 있는 몫이 10퍼센트라고 해서 10퍼센트의 역할만 하지 말고, 탄소중립을 위해 200퍼센트를 해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