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방문은 최만식 의원이 전국 최초로 추진 중인 '경기도 장애아동 지원 조례안' 제정을 앞두고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한 자리였다.
한마음어린이집은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이 함께 생활하는 통합어린이집이 아니라, 언어ㆍ재활치료와 간호인력이 상주한 ‘장애전문어린이집’이다. 최 의원은 학부모와 교직원과 함께 내부 시설을 둘러보며 장애아동의 보육 환경과 운영 실태를 꼼꼼히 살폈다.
정담회에서 학부모들은 “장애 유형별 정보 제공이 절실하다”며 향후 설치될 장애아동지원센터에서 사례관리, 보호자 및 전문인력 교육ㆍ훈련, 치료ㆍ상담 연계, 관련 연구ㆍ조사 등 종합적 지원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주길 당부했다.
황보정희 원장은 “장애전문어린이집이 법적으로는 ‘어린이집’으로만 분류돼 지자체의 지원 정책과 사업 안내가 제대로 이어지지 않는다”며 “장애아동을 위한 맞춤형 지원 정책이 하루빨리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장애아동을 돌보는 보호자에 대해 “엄마의 청춘이 사라진다”며 부모교육과 심리ㆍ정서 지원, 실질적 복지혜택의 필요성을 호소해 참석자들의 마음을 울렸다.
지난해 12월 2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올 12월부터 시행될 '장애아동 복지지원법'은 광역지자체마다 지역장애아동지원센터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장애아동만을 특정해 운영된 조례는 경기도를 포함해 타 광역ㆍ기초지자체에도 전무하다.
최 의원은 “장애아동은 장애인과 아동이라는 이중적 사회적 약자에 놓여 있다”며 “현장의 의견을 바탕으로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조례 제정에 신중을 가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기도가 선도적으로 장애아동 지원의 새 시대를 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최 의원은 경기복지거버넌스 장애인분과 위원들과 조례 TF를 구성하고, 오는 10월 15일 ‘경기도가 여는 장애아동 지원의 새 시대’를 주제로 공청회를 개최해 조례안을 본격 논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