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간과 공공 각계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논의의 장은 지역 중심 통합돌봄 체계 구축의 방향성과 실행력을 실질적으로 다지는 계기가 됐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 10월, 한 위원장이 대표 발의한 '서울특별시 강서구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이후 이어진 첫 정책 논의의 장으로 마련됐다.
해당 조례는 노쇠, 장애, 질병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주민이 병원이나 시설이 아닌 ‘살던 곳’에서 일상을 존엄하게 이어갈 수 있도록 지역 기반 돌봄 체계를 설계한 것으로, 11월 중순부터 시행된다.
현장에서는 전국 지자체의 통합돌봄 추진 동향과 광주의 선도 사례를 주제로 한 발제가 진행됐고, 의료·복지·주거·사회적경제·행정 등 다섯 개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 지정토론을 통해 강서구 현실에 맞는 실행 방안이 다각도로 제시됐다.
한상욱 위원장은 “통합돌봄에 대한 논의가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시작됐고, 조례 또한 의회와 민·관이 함께 조율하며 만든 결과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라며, “이번 토론회는 강서형 통합돌봄을 정책으로 구체화하고 실행력 있게 설계해 가는 출발점”이라고 밝혔다.
이어, “돌봄의 완성은 행정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지역사회의 힘과 의회의 역할이 어우러질 때 가능한 일”이라며, “앞으로도 구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돌봄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