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지 통계는 양성평등기본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는 인적(人的)통계를 작성하는 경우 성별 성황과 특성을 반영해 작성하도록 하고 있으며, 김해시는 2018년 최초 통계 작성에 이어 2022년 그리고 올해 세 번째로 성인지 통계를 구축했다.
2025년 김해시 성인지 통계는 총 10개 분야 229개 지표로 구성됐으며 경남여성가족재단이 용역을 수행했다.
먼저, 김해시민 627명을 대상으로 여성친화도시 조성 5대 목표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해 15개 맞춤형 지표를 구축한 것이 특징이다.
또 김해시와 ▲전국·경남 타 지역과 비교하는 총인구, 연령별 경제활동 인구 등을 포함한 20개 지표 ▲인구 50만 이상 타 지자체와 비교하는 인구이동, 출산지표 등을 포함한 19개 지표를 개발하는 등 다각적인 분석을 시도했다.
특히 김해시는 전체 인구수(53만2,736명) 대비 외국인 수(2만4,727) 비율 4.6%로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 회원도시인 만큼 다문화 관련 지표를 추가했으며 전국 제조업체 수 3위권(1만86개)에 속하는 제조업 중심도시 특성을 반영해 성별 고용 격차, 임금 수준 등 근로 현장 성평등 지표도 포함했다.
최종 보고회에는 여성친화도시 안전협의체 소속 김해중·서부 경찰서 범죄예방대응과 팀장과 김해시여성센터장, 김해시여성개발인력센터장, 경남여성가족재단 연구진 등 16명이 참석해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정책 활용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성인지 통계는 성평등 정책의 추진기반이 되는 기초자료로 김해시가 직면한 다양한 사회·경제적 현안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종주 김해시 복지국장은 “김해시의 특성을 반영하고 경남, 전국 인구 50만명 이상 타 지자체를 비교함으로써 김해시를 객관적으로 진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며 “지속적인 지표 관리와 데이터 갱신으로 성 불평등 현상을 해소하고 모두가 행복한 김해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