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자 의원은 “부천시 곳곳의 상점가와 지하철 출구 주변에 무분별하게 방치된 전동킥보드와 공유자전거가 보행자, 휠체어 이용자, 유모차 이용 시민들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며, “특히 부천시에서 운영 중인 7개 업체 모두가 부천시에 본사를 두고 있지 않아 시가 얻는 실질적 이득은 전무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김 의원은 “부천시는 민원 해결을 위해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견인기동반 등 관련 팀 업무의 절반 이상이 PM 민원 처리에 소요되고 있어 업무 효율성과 예산 낭비 문제가 심각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 ‘킥보드 없는 거리’ 정책과 천안시의 ‘PM 중점 관리 지역 설정’ 사례를 언급하며, “우리 시에 적용 가능한 우수 사례를 벤치마킹해 세금 지출을 최소화하면서 시민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특히 김 의원은 “현재 부천시가 경기도 최초로 시행한 민원 신고 시스템의 효과 검증에는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특정 창구로 접수된 민원만 처리 가능한 구조를 개선하고 콜센터 등 다양한 채널로 접수된 민원도 원활히 처리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미자 의원은 끝으로 “개인형 이동장치가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는 과정에서 시민의 안전과 편의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부천시가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