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협의체에는 시를 비롯해 ▲국가정보원 ▲한국인터넷진흥원 ▲부산경찰청 ▲부산전파관리소 ▲부산경제진흥원 ▲부산정보산업진흥원 ▲부산테크노파크 ▲한국산업단지공단 ▲부산상공회의소 등 10개 기관이 참여한다.
또한, 지역 대표 기업 ㈜파나시아, 해양드론기술㈜, ㈜리얼시큐 등도 회의에 참석해 민·관 협력 기반 구축에 힘을 보탠다.
'지역기업 사이버 보안 유관기관 협의체'는 최근 중소기업을 노린 해킹 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기업 존폐와 지역경제를 위협하는 심각한 위기 요인으로 인식하고 관련 기관 간 긴밀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부산 지역에서는 해킹 피해가 중소기업에 집중되며, 영세 기업의 경우 한 번의 사이버 사고가 곧 경영 위기로 이어질 위험이 커 실질적 지원과 선제적 예방이 시급한 상황이다.
실제로 부산 지역 해킹 신고 기업의 88퍼센트(%)가 중소기업이며, 신고 건수도 2022년 45건에서 2025년 83건으로 급증해 피해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협의체는 기관 간 정보 공유, 신속 대응 시스템, 현장 중심 기업지원 프로그램 등 맞춤형 사이버보안 지원체계를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시는 협의체를 통해 각 기관이 보유한 정보·전문성을 공유하고 사고 예방부터 복구, 재발 방지까지 종합적 대응을 추진하는 지역기업 사이버보안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협의체 출범과 함께 전국 최초로 '헬프 데스크(Help Desk)' 운영 및 24시간 보안관제 등 지역 중소기업을 위한 단계별 보안 지원 계획도 발표한다.
1단계에서는 피해 신고와 상담을 위한 ‘헬프 데스크(Help Desk)’ 운영, 취약점 진단과 복구 등 맞춤형 상담(컨설팅)을 제공한다.
2단계에서는 현장 및 온라인 정보보호 교육을 정기·수시로 운영하고, 연 2회 사이버 모의훈련을 실시한다.
3단계에서는 보안 전담 인력과 예산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4시간 보안관제 지원(산단·업종 단위 그룹형 운영)과 보안시스템 구축(구독형·설치형) 지원을 추진한다. 지원 규모도 확대돼, 2025년 70개 기업(9억 원)에서 2026년에는 350개 기업(27억 원)으로 대폭 늘어날 예정이다.
향후 시는 산·학·연·관이 참여하는 ▲정보보호산업육성위원회 발족 ▲사이버보안 정책 용역 ▲제도 마련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지역 사이버보안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박형준 시장은 “사이버 보안은 단순 기술 문제가 아니라 경제·사회 전반의 신뢰를 지키는 핵심 요소이다”라며, “한 번의 보안 사고가 기업에 치명적인 위기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우리시는 기관 간 유기적 협조를 통해 사고 예방부터 대응, 회복까지 전 단계에 걸친 실질적 공조 체계를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티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